티스토리 뷰

반응형

역세권 2030 청년주택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는 서울특별시 안에서 진행이 되고 있는 것으로써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20대, 30대의 청년들이 점점 더 늘어나게 만드는 정책입니다.

▶주거빈곤을 극복
▶30대의 신혼부부들을 위한 주거 비용의 부담을 극복
▶높아지는 주택의 전월세, 매매가 때문에 이동을하는 것을 방지

※역세권?

▶주거안정을 해소
▶관련된 지출을 해소
▶지역 경제 발전을 유도

대중교통인 버스와 지하철 이용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이라고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이는 임대주택으로 대량 공급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살고 있는 인구수는 줄어들고 있으며 주거 빈곤 청년은 늘어가고 있었습니다.(2012년 기준)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은 이렇게 인구수를 늘리고 지역 개발을 하기 위함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목적?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을 하는 사업적인 목적과 대상지는 다음과 같겠습니다.

1) 목적: 대중교통이 편리한 곳의 규제완화를 하고 이를 개발함으로서 청년들을 통해 임대주택에 대량적인 공급을 주고 서울 청년의 주거 환경을 더욱 안정시키며 지역경제를 활성화

2) 대상지: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을 중심으로 선정.

a. 대중교통 중심의 역세권: 버스전용차로가 있는 곳, 30m이상의 도로에 위치한 역세권 그리고 도시철도 및 일반 철도 2개 이상의 교차역.

b. 보행활동중심 역세권: 승장장의 경계지점 250m 이내로 규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