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윈도우 실행 단축키라는 것은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윈도우 프로그램을 단축 버튼을 이용하여서 보다 빠르게 실행을 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설명을 하자면 컨트롤+알트+1(숫자)를 누르면 계산기가 실행이 되는 것입니다.

아마도 대부분의 Windows(윈도우즈)사용자들이 작업 표시줄에 아이콘을 고정시켜서 윈도우 버튼+1~0번으로만 쓰이는 단축키만을 알고 계실텐데요. 이는 프로그램의 속성에서 편집을 하는 사용법이 되겠습니다.


Windows 실행 버튼을 만들어보기

해당 글은 윈도우10을 기준으로 작성이 됐으며 이 외에 낮은 버전에서는 사용방법이 다를 수가 있습니다.

※알아둘 것:

윈도우 실행 단축키는 기본적으로 Ctrl과 Alt가 절대적으로 조합이 됐기 때문에 키보드의 숫자 혹은 문자 버튼을 한 개만 눌러주면 됩니다.

윈도우에 있는 그림판 프로그램을 예로 들었습니다. 

윈도우 배경화면의 왼쪽 아래에 있는 시작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리고 보조프로그램으로 이동 후에 그림판을 찾아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하시고 자세히 → 파일 위치열기를 선택합니다.

그림판이 있는 폴더의 위치로 이동이 되면 해당 파일에 다시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하고 속성으로 들어가 줍니다.

그림판 속성에서 바로가기 메뉴 안에 있는 바로가기키에 쓰여진 없음이라는 글자를 마우스로 한 번 클릭을 합니다. 그리고 앞으로 이 그림판을 불러낼 실행 단축키를 선정하면 되겠습니다.

최초 위에서 설명을 하였듯이 윈도우 실행 단축키는 기본 컨트롤, 알트 키의 조합으로만 쓸 수가 있으므로 컨트롤, 알트를 누르지 말고 아무 문자 혹은 숫자를 눌러주면 위처럼 3개의 조합으로 나올 것입니다. 예로 숫자 5를 하나만 입력하시면 이해가 될 것입니다.


실행이 되는 단축버튼을 만들고 아래에 적용이나 확인을 눌러서 현재의 편집을 저장하여 주시면 되겠습니다.

꼭 윈도우의 기본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업 수동으로 설치한 것 또한 가능합니다. 모든 프로그램의 속성으로 이동을 하시면 실행 단축 키를 만들 수가 있습니다. (휴지통은 불가능)


반응형
댓글